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hp
- 크롬 개발자 도구
- 통합 개발 환경
- 구글
- 라라벨
- Java
- 웹
- 웹 개념
- HTTP
- HTML
- 소프트웨어융합학과
- .md
- C++
- 개발 환경 구축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배우기 쉬운 언어
- 새로운 언어
- composer
- 백엔드
- NPM
- 객체지향프로그래밍
- C
- 태그
- go언어
- laravel
- 웹 강의
- 라라벨 설치
- 마크다운 문법
- 별별 웹 용어
- 웹 개발
- Today
- 8
- Total
- 254,520
목록Web/별별 개발 이야기 (11)
세상의 모든 지식

0. 도입 안녕하세요! 개발을 할 때 디자인 시안이 없는 상태에서 작업을 시작하는 것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입니다. (물론 디자인 시안이 있어도 그것을 똑같이 구현하는 것은 어렵습니다만.) 그래도 완전한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 보다는 어느 정도 디자인 틀이 있으면 좋겠죠? 오늘은 디자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를 몇 곳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Uplabs 과거 Material Up 이었던 이 사이트는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디자인 사이트 입니다! 웹, iOS, Android, 일러스트, 로고,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날그날 베스트 디자인들을 메인에서 보여주기 때문에 사이트에 방문해서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즐거운 사이트입니다. UpLabs의 검색 기능을 ..

0. 도입 프로그래밍 기술이 대세가 되면서 프로그래밍을 배우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더 많아졌습니다! 프로그래밍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공부하는 것이 앞으로의 인생에 있어서 절.대. 손해가 될 일은 없을 겁니다. 자, 그러면. 프로그래밍을 배워야 하는데 과연 어떤 것을 먼저 시작해야 할까요? 어떤 언어를 먼저 공부해야 할까요? 오늘은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은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고 합니다. 물론! 이 가이드라인은 저의 주관적인 의견에 따라 작성되었기 때문에 참고해주시고, 다른 사람들이 작성해 놓은 가이드라인도 함께 참고하시면 더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프로그래밍, 왜 공부해야 하는가? 모든 배움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일방적..
안녕하세요! 저번에 알아본 통합 개발 환경(IDE)에 이어서 이번에는 어떤 텍스트 편집기를 써야 할지! 다양한 텍스트 편집기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텍스트 편집기(Text Editor)란?텍스트 편집기는 우리가 아는 그 메모장! 이 아니라... (물론 메모장과 비슷한 기능을 합니다만) 코드를 작성하고 syntax highlighting, 자동 완성, 포맷팅 등을 지원하는 개발에 최적화된 기능성 메모장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저번 시간에 알아본 통합 개발 환경과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느낌인데요! 통합 개발 환경은 서버 환경을 생성하고 git 등의 협업 도구라든지, ftp 파일 업로드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필요로하는 큰 프로젝트에 많이 사용하는 반면, 작은 프로젝트나 공부를 하기 위해서 가볍게 사용할 수 ..
개발을 하다 보면, 그리고 스타트업을 하면서 개발자들과 대화를 해보면, 통합 개발 환경(IDE)에 대한 얘기를 가끔 들어볼 수 있습니다. "어떤 IDE 사용하세요?" 라든지 "개발 환경 어떤거 사용하세요?" 라든지 개발 환경과 관련된 대화가 오갈 수 있습니다. 통합 개발 환경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상황에 맞춰서 어떤 통합 개발 환경을 사용 하는 것이 좋을까요?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통합 개발 환경 말고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텍스트 에디터에 대한 소개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2018/04/30 - [Web/별별 개발 이야기] - [별별 개발 이야기] 텍스트 편집기(Text Editor), 어떤걸 써야할까? 통합 개발 환경(IDE)란?통합 개발 환경(IDE)은 Integrated Devel..
오랜만에 돌아왔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맨틱 웹(Semantic Web)'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슷하게 시맨틱 UI(Semantic UI)라는 CSS 프레임워크가 있는데! 서로 관련은 전혀 없구요 ㅋㅋㅋ 그러면! 시작해보죠. 시맨틱 웹이란?시맨틱 웹(Semantic Web)은 "의미론적인 웹"이라는 뜻으로,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 웹을 의미합니다. (물론 사람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 Wiki 백과 웹 2.0 시대가 시작되면서 사용자들이 생산하는 정보들이 많아지다가 그 양이 너무 많아졌습니다. 우리에게 필요하고 유익한 정보들도 많지만, 불필요한 정보들도 넘쳐나게 되었죠. 이렇게 되면 사람들이 일일이 수 많은 정보들 가운데에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찾아나서야 하는 ..
오늘 정말 충격적인 사실을 알아서 공유할까 합니다. 블로그가 어떤 단어의 약자였데요!!!! 이 사실을 안 저는 크나큰 충격에 빠졌고... 하 19년 인생 헛살았구나... 이때까지 블로그는 그냥 '블로그' 자체로, 하나의 단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하지만 사실 블로그는 '웹(web)과 로그(log)의 합성어'였다는 것을 알고 계신가요? 정말... 후 (저만 충격인가요...;;;) 그래서 오늘은 블로그의 역사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볼까 합니다! 1. 블로그의 어원블로그블로그는 웹(Web)과 로그(Log)의 합성어로, 나의 생각이나 지식들은 웹 상에 로그의 형태로(글의 형태로) 저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블로그의 목적은 자신만의 생각을 저장하는 것도 있겠지만,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나누는데에 그 의의가 ..
0. 도입안녕하세요! 오늘은 'HTML 태그의 숨겨진 이야기'라는 주제로 찾아왔습니다! 'HTML 태그의 숨겨진 이야기'는 시리즈로 연재(?)를 해보려고 해요! 이 시리즈에서는 우리가 평소 알지 못했던HTML 태그들의 약자라든지어? 이거 왜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되었을까? 라든지아니 이런 태그도 있어?하는 것들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실 알고보면 우리가 모르는 이야기들이 가득한 HTML 태그들! 함께 만나 보시죠! 1. 하이퍼텍스트제일 첫번째 주자는 a 태그 입니다. 닝겐 A : "좋아. a 태그를 써서 링크를 걸 수 있는건 알겠어. 근데 도대체 'a'가 뭐의 약자지? 무슨 뜻이지?" 사실 링크가 걸리니까 'link'를 사용하는게 더 적합해 보이는 이 친구! 근데 사실 'link'는 'css'파일을 불러 ..
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 또는 Multi Platform)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던 개념입니다. 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이란?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은 "교차"를 뜻하는 "Cross"와 Platform의 합성어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언어로는 Java가 있습니다. 크로스 플랫폼을 제일 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C언어와 Java의 소스코드 컴파일(Compile)방식을 비교해 보면 됩니다. C언어 C언어는 제작한 소스코드를 각각 운영체제에 맞는 컴파일러로 컴파일해서 실행시키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C언어로 프로그램을 짜고 윈도우 버전, 맥 버전, 리눅스 버전을 만들기 위해서 각각의..
웹 개발을 조금 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HTML을 알고 있을 겁니다. HTML은 웹 페이지의 뼈대를 구성하는 언어 입니다. 쉽게는 웹 브라우저에서 '아무 페이지나 열고 -> 마우스 우클릭 후에 -> 검사'를 누르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ML : 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은 마크업 언어입니다. 그러면 업(UP)이 있으니까 마크다운(DOWN) 언어도 있을까요? 네, 마크다운 언어도 있습니다! 그러면 마크업(MarkUp) 언어, 마크다운(MarkDown) 언어가 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마크업(MarkUp)언어란?마크업 언어는 "마크(Mark)"로 둘러싸인 언어입니다. "태크(Tag)"로 둘러싸였다고도 표현합니다. HTML, XML 등의 마크업 언어들은 문서의 구조를 정의..
(게임 방송 분야로 유명한 스트리밍 사이트 twitch.tv) 인터넷 개인 방송이 활성화 되면서 "스트리밍", "스트리머" 등의 용어가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흔히 "스트리머"라고하는 사람들은 "스트리밍"을 하는 사람들이고, "스트리밍"이라는 단어는 방송을 하는 행위(?) 뭐 그런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리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스트리밍 서비스YouTudeNetflix네이버 TV캐스트twitch아프리카 TVpooqVimeo그래서! 오늘 우리는 스트리밍을 기술적인 시점에서 살펴보고자 합니다. 기술적 의미에서 살펴본 스트리밍은 어떤 의미일까요? 스트리밍이란스트리밍(Streaming)은 인터넷으로 음성이나 영상 파일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실시간 개인 방송 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