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30] 색종이 만들기 (Python3)
갑자기 사무실 옆자리 앉은 후임과 알고리즘 문제 풀기 대결이 붙어서 알고리즘을 풀기 시작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630
문제
아래 <그림 1>과 같이 여러개의 정사각형칸들로 이루어진 정사각형 모양의 종이가 주어져 있고, 각 정사각형들은 하얀색으로 칠해져 있거나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주어진 종이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잘라서 다양한 크기를 가진 정사각형 모양의 하얀색 또는 파란색 색종이를 만들려고 한다.
전체 종이의 크기가 N×N(N=2k, k는 1 이상 7 이하의 자연수) 이라면 종이를 자르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전체 종이가 모두 같은 색으로 칠해져 있지 않으면 가로와 세로로 중간 부분을 잘라서 <그림 2>의 I, II, III, IV와 같이 똑같은 크기의 네 개의 N/2 × N/2색종이로 나눈다. 나누어진 종이 I, II, III, IV 각각에 대해서도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모두 같은 색으로 칠해져 있지 않으면 같은 방법으로 똑같은 크기의 네 개의 색종이로 나눈다. 이와 같은 과정을 잘라진 종이가 모두 하얀색 또는 모두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거나, 하나의 정사각형 칸이 되어 더 이상 자를 수 없을 때까지 반복한다.
위와 같은 규칙에 따라 잘랐을 때 <그림 3>은 <그림 1>의 종이를 처음 나눈 후의 상태를, <그림 4>는 두 번째 나눈 후의 상태를, <그림 5>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크기의 9장의 하얀색 색종이와 7장의 파란색 색종이를 보여주고 있다.
입력으로 주어진 종이의 한 변의 길이 N과 각 정사각형칸의 색(하얀색 또는 파란색)이 주어질 때 잘라진 하얀색 색종이와 파란색 색종이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전체 종이의 한 변의 길이 N이 주어져 있다. N은 2, 4, 8, 16, 32, 64, 128 중 하나이다. 색종이의 각 가로줄의 정사각형칸들의 색이 윗줄부터 차례로 둘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주어진다. 하얀색으로 칠해진 칸은 0, 파란색으로 칠해진 칸은 1로 주어지며, 각 숫자 사이에는 빈칸이 하나씩 있다.
8
1 1 0 0 0 0 1 1
1 1 0 0 0 0 1 1
0 0 0 0 1 1 0 0
0 0 0 0 1 1 0 0
1 0 0 0 1 1 1 1
0 1 0 0 1 1 1 1
0 0 1 1 1 1 1 1
0 0 1 1 1 1 1 1
출력
첫째 줄에는 잘라진 햐얀색 색종이의 개수를 출력하고, 둘째 줄에는 파란색 색종이의 개수를 출력한다.
9
7
생각의 흐름 및 풀이
'분할 정복' 카테고리의 문제이고, 재귀를 이용해 풀 수 있다.
처음 생각의 흐름은 이랬다.
- 대충 재귀 함수에 넣고 돌리면 되지 않을까? (하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재귀를 돌릴 때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보아야 한다. (색종이가 하나의 색으로만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부분일 것이다.)
- 재귀함수는 전체 혹은 잘린 일부분 색종이 배열과 크기를 받는 형태가 될 것이다.
- 하지만 2차원 배열을 처리하는건 귀찮은 일이니 1차원 배열로 flatten해서 사용해보자.
- 그 안에서는 색종이에 대한 검증 (하나의 색으로만 이루어졌는지)과 하나의 색이 아닐 때 4분할을 하는 코드가 들어갈 것이다.
- 색종이가 하나의 색으로만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반복문을 돌려서 확인하는 것보다는 색종이에 적힌 숫자의 sum으로 비교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 색종이에 적힌 숫자의 합이 0이면 흰색, 합이 크기의 제곱이면 파란색, 그렇지 않으면 분할해야 하는 색종이로 분류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짰다.
import sys
size = int(input())
data = sum([list(map(int, sys.stdin.readline().split()))
for _ in range(size)], [])
white = 0
blue = 0
def check_paper(paper, size):
global white
global blue
paper_sum = sum(paper)
if(paper_sum == 0):
white += 1
return
if(paper_sum == size * size):
blue += 1
return
new_size = int(size / 2)
arr1 = sum([list(paper[i * 2 * new_size:(i * 2 + 1) * new_size])
for i in range(new_size)], [])
arr2 = sum([list(paper[(i * 2 + 1) * new_size:(i * 2 + 2) * new_size])
for i in range(new_size)], [])
arr3 = sum([list(paper[(i + new_size) * new_size * 2:(i + new_size) * new_size * 2 + new_size])
for i in range(new_size)], [])
arr4 = sum([list(paper[(i + new_size) * new_size * 2 + new_size:(i + new_size) * new_size * 2 + new_size * 2])
for i in range(new_size)], [])
check_paper(arr1, new_size)
check_paper(arr2, new_size)
check_paper(arr3, new_size)
check_paper(arr4, new_size)
check_paper(data, size)
print(white)
print(blue)
사실 처음에는 위와 정확히 똑같은 로직을 javascript 코드로 짜서 돌렸지만, 런타임 에러(Range Error)가 떴다. 아무래도 허용하는 범위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 것 같다.
결론
오랜만에 알고리즘 문제를 풀어보니까 재밌다. 앞으로도 심심하면 가끔씩 풀어봐야겠다.
문제를 풀고 나서 다른 사람들이 푼 코드를 보니까 함수 안에 색종이 배열을 통째로 넣는게 아니라 위치 index만 커서의 형태로 (aabb) 넣어서 사용하던데 그게 훨씬 깔끔해 보이긴 한다.